티스토리 뷰

It

한국문학의 영역(領域)

worknettwo 2023. 4. 7. 23:42

;1) ;한국문학의 ;범위(範圍)
; ;(1) ;개념
; ; ;① ;기본적으로 ;‘한민족이 ;각 ;시대의 ;역사적 ;생활공간에서 ;이루어온 ;문학의 ;총체’
; ; ;② ;한국인의 ;사상·감정·경험을 ;한국어로서 ;표현한 ;문학
; ; ;③ ;한민족의 ;경험·사고·상상이 ;역사상의 ;각 ;단계마다의 ;생활방식과 ;문화적 ;조건에 ;상응하는 ;표현 ;언어를 ;통하여 ;형상적(形象的)으로 ;창조된 ;문학의 ;전체
; ;(2) ;한국문학사의 ;흐름: ;민족사의 ;전개 ;과정과 ;일치
; ;(3) ;범위: ;국문문학(國文文學) ;+ ;구비문학(口碑文學), ;한문문학(漢文文學)
; ;(4) ;한족(韓族) ;및 ;한인들의 ;문학: ;한국문학의 ;주변적 ;부분으로 ;포괄

;2) ;구비문학
; ;(1) ;문학으로서의 ;요건에 ;어긋난다는 ;이의(異議) ;제기
; ; ;① ;근거: ;문학의 ;본질적 ;조건: ;기록성
; ; ;② ;‘文學’·‘literature’의 ;어원(語源): ;‘문자’ ;또는 ;‘문자로 ;기록된 ;것’ ;강조
; ; ;③ ;구비문학: ;문학 ;이전의 ;언어체, ;준(準)문학
; ; ;④ ;편협(偏狹)하고 ;그릇된 ;관점, ;현재 ;중심주의의 ;편견
; ; ;⑤ ;문학이 ;사람의 ;보편적 ;욕구와 ;필요에 ;근거한 ;예술임을 ;부정하는 ;오류
; ;(2) ;문학은 ;기록성을 ;떠나 ;언어를 ;매개로 ;한 ;예술로서 ;성립함
; ;(3) ;구비문학의 ;의의: ;모든 ;문학의 ;역사적 ;전체상을 ;온전하게 ;해명하는 ;데 ;필수적임

;3) ;한문문학 ;배제론(排除論)의 ;문제
; ;(1) ;결정적 ;논거: ;한문이 ;중국에서 ;온 ;글이라는 ;점
; ; ;① ;한학(漢學)과 ;유가(儒家) ;이념이 ;19세기말·20세기초 ;붕괴된 ;데 ;대한 ;비판의식의 ;소산
; ; ;② ;식민지화에 ;따른 ;문화적 ;자존(自尊)과 ;개별성 ;확인 ;의식
; ;(2) ;1910년대 ;형성, ;1920년대 ;정식화(定式化·이광수), ;1950년대까지 ;큰 ;영향
; ;(3) ;편협한 ;명분주의(名分主義)적 ;태도
; ; ;① ;19세기까지 ;문학 ;유산 ;중 ;상당 ;부분이 ;버려짐
; ; ;② ;우리문학의 ;전개 ;양상과 ;내부적 ;관련의 ;전체상(象)을 ;온전히 ;설명할 ;수 ;없음
; ;(4) ;한문의 ;보편문어(普遍文語)로서의 ;위치
; ; ;① ;선진(先秦)시대부터 ;한대(漢代)까지 ;문장언어로서 ;전형이 ;성립된 ;고전문언문(古典文言文)
; ; ;② ;중국의 ;생활언어와 ;분리된 ;고전문어
; ; ;③ ;우리나라·일본·베트남 ;등으로 ;전파·사용·정착: ;동아시아 ;제민족의 ;한문문학은 ;세속적·개인적 ;성향이 ;훨씬 ;강했기 ;때문에 ;민족적 ;개별성을 ;더 ;풍부하게 ;발전시킴

4) ;한문문학 ;포용론(包容論)의 ;시각(視角)
; ;(1) ;절충적 ;입장 ;
; ; ;① ;‘우리말과 ;글로 ;된 ;문학 ;중심’, ;일부 ;한문문학을 ;그 ;주변영역으로 ;인정함
; ; ;② ;1940·1950년대에 ;부각됨
; ; ;③ ;한국문학의 ;영역 ;구성을 ;이원적으로 ;파악하는 ;논리
; ; ; ;㈀ ;국어문학: ;‘진정한 ;국문학’, ;‘순국문학(純國文學)’, ;‘좁은 ;의미의 ;국문학’
; ; ; ;㈁ ;주변에 ;속하는 ;영역: ;‘준국문학(準國文學)’, ;‘더 ;큰 ;국문학’, ;‘넒은 ;의미의 ;국문학’
; ;(2) ;포용 ;범위의 ;차이
; ; ;① ;조윤제(趙潤濟)의 ;󰡔국문학사(國文學史)󰡕(1949)
; ; ; ;㈀ ;국문문학은 ;‘순국문학’, ;한문문학은 ;‘큰 ;국문학의 ;일부’
; ; ; ;㈁ ;한문설화와 ;한문소설: ;순국문학에 ;포함
; ; ;② ;이병기(李秉岐)·백철(白鐵)의 ;󰡔국문학전사(國文學全史)󰡕(1957)
; ; ; ;㈀ ;절충안 ;제시
; ; ; ;㈁ ;한문문학: ;내용적 ;특성에 ;따라 ;취사(取捨)해 ;국문학사의 ;보충자료로 ;이용해야 ;함
; ; ;③ ;장덕순(張德順)의 ;󰡔국문학통론(國文學通論)󰡕(1960)
; ; ; ;㈀ ;훈민정음 ;창제 ;이전: ;모두 ;국문학으로 ;처리
; ; ; ;㈁ ;훈민정음 ;창제 ;이후: ;국문문학만 ;국문학으로 ;처리, ;한문문학 ;중 ;가치 ;있는 ;것은 ;‘보다 ;큰 ;국문학’의 ;범위에 ;포함시킴
; ;(3) ;문제제기
; ; ;① ;한문문학 ;중 ;‘국문학적 ;가치’가 ;있는 ;것을 ;가려내는 ;기준은?
; ; ;② ;나머지 ;한문문학은 ;한국문학의 ;영역에서 ;제외할 ;수 ;있나?
; ;(4) ;결론: ;19세기 ;말까지 ;우리 ;공간 ;안에서 ;이루어진 ;한문문학을 ;차등 ;없이 ;한국문학의 ;범위에 ;포괄함이 ;마땅함

;5) ;한국문학의 ;총체(總體)
; ;(1) ;우리 ;민족에 ;의해 ;면면히 ;이어져 ;온 ;문학적 ;창조와 ;그 ;나눔의 ;시간적·공간적 ;총체
; ;(2) ;국문학의 ;범위에 ;포함되는 ;여러 ;영역

; ; ; ; ; ; ; ; ; ; ; ; ; ;구비문학
; ; ;한국문학 ;< ; ; ; ; ; ; ; ; ; ; ; ;국문문학(차자문학(借字文學) ;포함)
; ; ; ; ; ; ; ; ; ; ; ; ; ;기록문학 ;< ;
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 ;한문문학

;6) ;제영역(諸領域)의 ;상관관계와 ;의의(意義)
; ;(1) ;우리 ;문학사의 ;6단계 ;(교재 ;23쪽 ;참조)
; ;(2) ;구비문학
; ; ;① ;i)부터 ;v)의 ;시대
; ; ;② ;우리문학의 ;근원이자 ;기층(基層)
; ; ;③ ;발전: ;구비문학만의 ;시대 ;→ ;기록문학과의 ;공존 ;단계
; ; ;④ ;기록문학에 ;소재·양식·상상력을 ;제공하는 ;원초적 ;자산으로 ;작용
; ; ;⑤ ;예: ;향가, ;원초적 ;구비문학과 ;예술 ;→ ;구비서사시(口碑敍事詩) ;판소리 ;→ ;판소리계소설
; ; ;⑥ ;i), ;ii), ;iii) ;시기(고대)의 ;구비문학
; ; ; ;㈀ ;포괄성: ;전사회적 ;기반을 ;지닌 ;문학 ;형태
; ; ;⑦ ;iv), ;v) ;시기(고려 ;이후 ;중세사회)의 ;구비문학
; ; ; ;㈀ ;신분질서에 ;따른 ;문학의 ;이원화(二元化)
; ; ; ; ;* ;구비문학은 ;평민층·하층민 ;세계가 ;주된 ;영역
; ; ; ; ;* ;문인·지식층의 ;한문 ;사용 ;보편화: ;사회 ;상층부의 ;한문문학 ;발달
; ; ;⑧ ;구비문학의 ;특성
; ; ; ;㈀ ;민족문학적 ;기층성(基層性): ;민족문학에서 ;지속적 ;혹은 ;재귀적(再歸的)으로 ;나타나는 ;형상적 ;사고의 ;원형·주제·표현양식·모티프·리듬 ;등의 ;특질을 ;총칭하는 ;것
; ; ; ;㈁ ;민중성(民衆性)
; ; ; ; ;* ;삶에 ;밀착된 ;현실성: ;직접적 ;노동과 ;생활의 ;지평에서 ;고투(苦鬪)하는 ;사람들의 ;문학
; ; ; ; ;* ;중세 ;지배층의 ;한문문학: ;현실 ;생활체험과 ;거리가 ;먼 ;관념세계와 ;미의식의 ;추구
; ;(3) ;한문문학
; ; ;① ;한문 ;전래: ;고대국가 ;성립기 ;전후(소수 ;지식층에 ;의해 ;창작)
; ; ;② ;발전
; ; ; ;㈀ ;신라·발해가 ;병립(竝立)한 ;남북국시대(8~10세기) ;
; ; ; ;㈁ ;한문문학 ;담당층: ;신라 ;6두품(六頭品) ;출신의 ;문인·학자들, ;당(唐) ;유학생들
; ; ;③ ;본격적 ;확산·심화
; ; ; ;㈀ ;고려 ;건국 ;이후
; ; ; ;㈁ ;유교 ;이념에 ;입각한 ;문치주의(文治主義) ;사회 ;형성, ;관료제 ;발달, ;과거제 ;시행
; ; ; ;㈂ ;양반관료국가(兩班官僚國家)인 ;조선 ;왕조 ;사대부층의 ;필수 ;교양으로 ;확정
; ; ;④ ;특성
; ; ; ;㈀ ;매우 ;강한 ;폐쇄성: ;문인·사대부층만의 ;한문
; ; ; ;㈁ ;중세적 ;보편주의: ;유학 ;중심의 ;천하의식(天下意識) ;+ ;요순(堯舜)·공맹(孔孟)의 ;도(道)
; ; ; ;㈂ ;문학상의 ;중화(中華)적 ;전범(典範)에 ;대한 ;지향성
; ; ; ;㈃ ;17세기 ;이후 ;문학적 ;개별성의 ;자각: ;‘조선시(朝鮮詩)’, ;‘조선풍(風)’, ;‘이언(俚諺)’
; ; ;⑤ ;의의
; ; ; ;㈀ ;우리 ;문학의 ;폭을 ;넓힘
; ; ; ;㈁ ;정치(精緻)한 ;심미적 ;의식과 ;풍부한 ;사유의 ;세계를 ;이루는 ;데 ;기여함
; ; ; ;㈂ ;초월성 ;및 ;보편지향적 ;원심력(遠心力)으로 ;작용: ;고유어로 ;된 ;기층(基層)문학의 ;즉생활적(卽生活的) ;구체성(具體性)과 ;개별문학적(個別文學的) ;구심력(求心力)에 ;상보적(相補的) ;의의
; ;(4) ;국문문학
; ; ;① ;국어문학이자 ;기록문학: ;구비문학과 ;한문문학의 ;중간적 ;위치(향가, ;훈민정음 ;창제)
; ; ;② ;조선전기: ;시가부문 ;발달 ;→ ;후대 ;산문문학 ;성장의 ;문체적 ;바탕 ;마련
; ; ;③ ;17세기 ;중엽 ;이후
; ; ; ;㈀ ;평민가객(平民歌客)의 ;등장
; ; ; ;㈁ ;소설·야담을 ;포함한 ;산문문학의 ;다양한 ;전개
; ; ; ;㈂ ;상업적 ;출판의 ;융성
; ; ; ;㈃ ;시정문화(市井文化)의 ;발달
; ; ; ;㈄ ;현실주의와 ;세속적 ;지향: ;근대적 ;삶의 ;인식으로 ;나아감
; ; ;④ ;19세기 ;말, ;20세기 ;초: ;한국문학의 ;거의 ;전 ;영역 ;차지(한문문학·구비문학의 ;역할 ;쇠퇴)
; ; ;⑤ ;담당층의 ;다양성: ;사대부 ;문인부터 ;하층의 ;천민(賤民)
; ; ;⑥ ;보다 ;넓은 ;공감 ;추구: ;중세적 ;신분제와 ;이원적(二元的) ;문화구조 ;탈피

;7) ;결론
; ;(1) ;편의상의 ;시대 ;분할: ;고전문학(구비문학·한문문학·국문문학)-19세기말(경계)-현대문학
; ;(2) ;서로 ;단절된 ;별개 ;영역을 ;형성하지 ;않음
; ;(3) ;과제: ;이와 ;같은 ;편의적 ;양분법에 ;따른 ;인식의 ;왜곡 ;극복이 ;절실함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중국의 구석기문화  (0) 2023.04.09
안드로이드,자바 함수 내에서 딜레이 주기  (0) 2023.04.08
한국문학의 갈래  (0) 2023.04.06
조명방식 2  (0) 2023.04.05
연색성 (Color rendering),  (0) 2023.04.04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4/06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