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;
코일(인덕터 ;: ;Inductor)란? ;
;
;
인덕터(Inductor) = 코일 (Coil)
;
;
•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자기작용을 이용하는 소자 전류가 흐를 때 그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 전류 충전 • 회로에서 직류 통과 (전류지연), 교류는 저주파 통과 고주파 차 단 • 형태 도선을 원통 형태로 감긴 형태 원통 형태 내부에 철심이 들어있은 형태
코일
회로에서 코일(인덕터)의 사용이유?
전류의 량이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류의 변화를 지연 - 전원 회로, 평활 회로(Smoothing Circuit) 고주파 성분은 잘 통과시키지 않음 - 고주파 필터효과 - 필터회로, 고주파 노이즈 제거
인덕턴스/유도용량(Inductance)
코일 성분의 정도를 나타낸 것 코일이 얼마나 자기장을 만들어내는지를 나타내는 단위 단위 길이당 도선을 감은 횟수에 비례 인덕터에 흐르고 있는 전류의 변화가 얼마나 어렵나를 나 타낸 것 자기에너지의 저장 능력 단위 : 헨리(H) 교류전류가 흐르면 전류방향이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자 기장의 방향이 계속 바뀌면서 저항 값을 가진다. 교류전류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저항 값이 높아진다.
인덕턴스의 특성은 다음의 회로에서 중요하다:
교류회로 - 교류회로에서 전류는 계속 변하므로 유도전압을 발생시킨 다.
전류 값이 변하는 직류회로 - 직류회로를 온/오프 하면 유도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
인덕턴스의 기호는 L이고 이는 자속과의 결합을 나타낸다.
• VL의 단위는 V이고 전류변화를 나타내는 di/dt의 단위는 A/s 이다.
• 인덕턴스의 기본 단위는 헨리 (H) 이다.
• 1H는 전류가 1초에 1A의 변화율로 변할 때 유도되는 전압이 1V가 되는 인덕턴스의 값이다.
L
인덕턴스는 코일의 감겨진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.
감은 수 N이 증가하면 더 많은 전압이 유도되므로 L이 증 가한다. 감은 수가 늘어날 때마다 코일이 만드는 면적 A가 증가하 므로 L이 증가한다. L은 코어의 투자율에 따라 증가한다. 감은 수는 같은데 코일의 길이만 증가하면 자속이 덜 집중 되므로 L은 감소한다
;
;
;
;
코일(인덕터 ;: ;Inductor)란? ;
;
;
코일(인덕터 ;: ;Inductor)란? ;
;
;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의 아파트 (0) | 2022.11.13 |
---|---|
유도성 리액턴스란? (0) | 2022.11.12 |
R· C 회로 ,임피던스(Impedance)란 (0) | 2022.11.12 |
커패시터 직·병렬 회로 (0) | 2022.11.12 |
자바 팩토리얼 (0) | 2022.1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