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여러 기준으로 분류
- 결제일에 따른 분류: 현물환거래, 선물환거래, 스왑거래
- 거래목적에 따른 분류: 실수요거래, 차익거래, 헤징거래, 투기거래
현물환거래(spot exchange transaction)
개념
- 외환거래가 이루어진 후 즉각적으로 대금결제
- 현실적으로 사무처리상의 시간때문에 보통 대금결제가 2일 이내에 이루어지는 경우 현물환으로 분류
- 당일물(value today: 거래당일에 대금결제), 익일물(value tom: 거래 다음날 대금결제), 익익일물(value spot: 거래 2일 후 대금결제)
- 가장 기본이 되는 거래로서 변동성과 유동성이 큼
- 현물환율: 현물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
선물환거래(forward exchange transaction)
개념
- 외환매매계약 체결 후 일정기간이 지나 대금결제
- 결제일에 적용되는 선물환율(forward rate)을 외환매매시 미리 정함
선물환율 표시법
- 완전호가(outright rate quotation): 현물환율과 마찬가지로 그대로 환율을 고시
선물환율 표시법(계속)
- 스왑률호가(swap rate quotation): 포인트호가라고도 하며 현물환율에 대한 격차인 스왑률로 고시하는데, 매입스왑률이 매도스왑률보다 현물환에 스왑률을 더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스왑률을 뺌
- 백분율호가(percentage rate quotation): 현물환율로부터의 변화율인 선물환할증률로 나타냄
스왑거래(swap transaction)
개념
- 결제일과 거래방향을 달리하는 두 개의 외환거래가 동시에 행해지는 거래
- 현물환 vs. 현물환, 현물환 vs. 선물환, 선물환 vs. 선물환 등
스왑거래와 관련된 몇 가지 용어
- 근일(near end: 먼저 도래하는 결제일), 원일(far end: 나중에 도래하는 결제일)
- 스왑인: 근일에 외환을 매입하고 원일에 매도하는 거래
- 스왑아웃: 근일에 외환을 매도하고 원일에 매입하는 거래
- 스왑거래시 적용되는 가격은 스왑률(스왑마진)을 이용해 고시
- 보통 근일에 적용되는 환율은 매입률과 매도율의 중간값을 적용하고, 원일에 적용되는 환율은 근일환율에 매도스왑률을 조정
제4절 환율제도
분류
외환시장 운영메커니즘 및 환율결정과정에 따라 분류해야 함
- 변동환율제도(floating exchange rate system): 환율이 외환시장에서의 수요, 공급에 따라 자유로이 결정
- 고정환율제도(pegged exchange rate system): 통화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의 움직임을 일정한 수준으로 통제
현실
위의 두 가지 환율제도를 절충한 경우가 대부분
- 예: 관리변동환율제도, 목표환율대제도, 크롤링페그제도 등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의 장점 (0) | 2023.03.22 |
---|---|
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 사항 (0) | 2023.03.21 |
혈당 조절 (0) | 2023.03.19 |
일본의 성(마츠야마松山성,마츠에松江성) (0) | 2023.03.18 |
재무 회계의 분개장 (0) | 2023.03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