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스크(risk) : 손실발생의 가능성, 손실에 관한 불확실성 손실(loss) : 경제적 가치의 예상하지 못한 상실 혹은 감소 손인(peril) : 손실의 원인, 우연사고 헤저드(hazard) : 손실을 일으키는 위험한 상태 1 리스크의 정의 1) 손실 발생의 가능성 주로 독일과 미국의 리스크 관리론에서 제기 2) 손실에 관한 불확실성 3) 가능성과 불확실성의 차이 가능성(chance ; possibility)은 존재의 유무가 아니라 유와 무의 중간상태 불확실성(uncertainty)은 장차 발생할 수 있는특정 현상을 사전에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조성되는 상태 리스크의 형태 1) 순수 리스크와 투기적 리스크 순수 리스크 잠재적 이익이 혼재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손실발생 리스크..
① 대화자간의 경우 ; 민법은 이에 관해 따로 정하고 있지 않지만, 도달주의의 원칙(제111조)에 따라 승낙의 통지가 청약자에게 도달한 때에 계약이 성립한다. ; ; ② 격지자간의 경우 ; 제531조[격지자간의 계약성립시기] 격지자간의 계약은 승낙의 통지를 발송한 때에 성립한다. ; ; ⒜ 청약에 대해 승낙을 함으로써 계약은 성립한다. 한편 승낙은 상대방(청약자)이 있는 의사표시로서 그 통지가 청약자에게 도달한 때에 효력이 생기는 것이 원칙이고, 민법 제528조 1항과 제529조도 ‘도달주의’를 취하고 있다. 따라서 원칙론으로는 승낙의 통지가 도달한 때에 계약이 성립한다고 할 것이다. 그런데 민법 제531조는, 승낙기간 또는 상당기간 내에 승낙의 통지가 도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, 「(격지자간의) 계약은..
좋은 해시 함수 = 충돌이 적은 해시 함수 키의 일부분을 참조하여 해쉬 값을 만들지 않고, 키 전체를 참조하여 해쉬 값 만들기 여덟 자리의 수로 이뤄진 키에서 네 자리의 수를 뽑아서 해쉬 값 생 성하는 방법 예 자릿수 선택 방법 : 키의 특정 bit들을 선택하여 해쉬 값으로 사용. 자릿수 폴딩 방법 : 일정 bit로 전체 키를 나누어 모두 더한 값을 사용 체이닝 열링 어드레싱 모델 : 충돌이 발생하면 다른 자리에 저장. 닫힌 어드레싱 모델 : 무슨 일이 있어도 자신의 자리에 저장. 한 자 리에 여러 slot이 들어갈 수 있어야 함. 여러 자리를 마련하는 방법 : 배열과 리스트 리스트 선호 : 메모리 낭비 적으므로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