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Max Weber(1864-1920)의 지배유형
;
Max Weber에 의하면 정치의 핵심문제는 인간이 다른 인간을 통치(지배)할 때, ;지도자가 어떻게 피치자 혹은 대중으로부터 ;정당성(legitimacy)을 획득할 수 있느냐에 있다고 보았다. ;즉, ;무엇을 근거로 복종을 시킬 수 있느냐의 문제인데, ;이는 복종을 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;“내가(우리가) ;어떤 근거로 저 사람의 말(지시, ;명령)에 따라야하는가”의 문제이다.
Weber는 지배(Herschaft, domination, rule)의 정당성을 위한 기초(지배를 정당화하는 내적 근거)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.
;
① ;전통적 정당성(전통적 지배): ;신성화된 전통이나 관습, ;선례에 기초를 둔 전통적 사회에 서 지켜지던 정당성. ;예: ;혈통에 의한 지배
② ;합법적 혹은 합리적 정당성(합법적 지배, ;합리적 지배): ;법이나 규칙에 의한 지배
③ ;카리스마(charisma)적 정당성(카리스마적 지배): ;지도자의 카리스마적 자질(비범한 개
인의 권위, ;천부적 자질)에 대한 믿음에 근거한 지배
;
여기서 ;①은 과거의 전통사회, ;②는 근대 이후 사회, ;③의 카리스마적지배(정당성)은 전통사회나 근대, ;현대사회 어디서나 속하는 유형으로 보았다.
Weber는 ;민주주의체제의 경우에 있어서도 ;이상적인 지배는 법의 지배를 통한 합리적 지배로 보지 않고, ;카리스마적 지배형태로 보고 있는데 그에게 카리스마적 지도자란 프로테스탄트 윤리에 상응하는 ;정치적 소명의식(내면적 신념의 소명의식)을 가진 지도자로서, ;신앙 혹은 신념을 갖게 된 스스로의 내면적 믿음이 정치지도자로 하여금 어떤 외부적 보상이나 제재가 아니더라도 무조건적으로 자신이 해야 할 ;의무감을 갖게 하는 그런 지도자를 의미한다(즉, ;외부적 보상이나 제재없이도 자신의 내면적 신념에 의해 일하는 지도자).
즉, ;자신이 제공하려는 것에 비해 세상이 너무나 어리석고 비열해 보일지라도 이에 좌절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 사람, ;그리고 어떤 상황에 처할 지라도 ;‘그럼에도 불구하고(dennoch)!’라고 말할 확신을 가진 사람, ;이런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가진 사람으로 보았다(최창집, ;막스 베버, ;소명으로서의 정치, ;폴리테이아, 2011).
;
Weber에 의하면 ;③의 카리스마적 지배란 복종자들이 지도자(Fuhrer)가 갖는 순수한 ;‘카리스마’에 추종함으로써 성립되는 지배의 유형으로 정치에 대한 가장 높은 차원의 표현인 소명(Beruf)이란 개념은 바로 여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. ;사람들이 예언자나 전쟁 지도자와 같은 위대한 카리스마적 존재적 존재에 헌신하는 것은 그 인물 개인을 내적으로 ;‘소명(召命)을 받은 지도자’로 인정하기 때문이며, ;따라서 사람들이 이러한 존재에게 복종하는 것은 전통이나 법규 때문이 아니라 그에 대한 믿음(신뢰) ;때문이라는 것이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화 및 노인의 정의 (0) | 2023.03.29 |
---|---|
노인의 정신적 변화 (0) | 2023.03.28 |
Max weber가 제시한 이념형으로서의 관료제의 특성 (0) | 2023.03.26 |
BCG 도표 (BCG matrix) (0) | 2023.03.25 |
C언어 정렬 (0) | 2023.03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