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객체(object)는 함수와 변수를 하나의 단위로 묶 을 수 있는 방법이다. 이러한 프로그래밍 방식을 객체지향(object-oriented)이라고 한다.
객체들 사이의 상호작용
텔레비전 리모콘은 모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객체라고 생각할 수 있고 텔레비전과 리모콘은 메시지 를 통하여 서로 상호 작용하고 있다.
객체란?
객체는 하나의 물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객체는 속성(attribute)과 동작(action)을 가지고 있다.
객체 생성하기
객체의 설계도를 작성하여야 한다.
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하여야 한다.
class Car:
def drive(self):
self.speed = 10
myCar = Car()
myCar.color = "blue"
myCar.model = "E-Class"
myCar.drive() # 객체 안의 drive() 메소드가 호출된다.
print(myCar.speed) # 10이 출력된다.
class Car:
def drive(self):
self.speed = 60
myCar = Car()
myCar.speed = 0
myCar.model = "E-Class"
myCar.color = "blue"
myCar.year = "2017"
print("자동차 객체를 생성하였습니다.")
print("자동차의 속도는", myCar.speed)
print("자동차의 색상은", myCar.color)
print("자동차의 모델은", myCar.model)
print("자동차를 주행합니다.")
myCar.drive()
print("자동차의 속도는", myCar.speed)
자동차 객체를 생성하였습니다.
자동차의 속도는 0
자동차의 색상은 blue
자동차의 모델은 E-Class
자동차를 주행합니다.
자동차의 속도는 60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OIN - 조인 방식의 비교 (0) | 2023.05.05 |
---|---|
자바 연산자 , 수식, 윤년 프로그램, 대입연산자, 중감 연산자, 산술연산자, 관계 연산자, 논리 연산자 (0) | 2023.05.03 |
직업기초능력 10가지 (0) | 2023.05.02 |
일본 덮밥요리丼일본 덮밥요리丼 (0) | 2023.05.01 |
치매 알츠하이머병 (Alzheimer's disease, AD,뇌 기억력 개선) (0) | 2023.04.30 |